여러가지/티스토리

티스토리 들여쓰기 / 글씨체 추가 하는 법

소금간장_ 2021. 12. 2.

도움받은 사이트

https://homzzang.com/b/css-104

 

홈짱닷컴

홈페이지 제작, 그누보드 강의, 웹코딩, HTML, CSS, JAVASCRIPT, JQUERY, PHP, SQL

homzzang.com




이전버전에서의 티스토리 글쓰기 에디터에선 탭키로 들여쓰기가 가능했지만 새로운 에디터로 바뀌면서 그 기능이 사라졌다.

새 에디터에서도 들여쓰기를 하기 위해선 HTML을 이용해야 한다.

 

 

 

0. 들어가기 전에


*<a>는 태그, 태그들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기능을 구현한 것을 편의상 코드라고 부름(보다보면 뭔소린지 이해감. 근데 야매라 이런 표현이 맞는 표현인지 아닌지는 나도 모름 알못임(아마 99% 틀린표현일거임) )

 


1. <span>을 기준으로 들여쓰기 하는 방법

 

 

이 방법을 이용하여 위의 글을 HTML을 사용하여 티스토리에 쓴다면 아래와 같이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음
(HTML 내에서의 엔터는 실제 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자유롭게 써도 된다)

 

들여쓰기를 어느정도로 할지 설정하는 코드 / 글씨 크기를 포함한 각종 본문 설정 / <span>태그를 포함한 본문 내용

 

 

㉮ 들여쓰기 코드 (span의 스타일 지정)

<style>
span {
padding-left: 15px;
}
</style>

 

이 코드를 복사해서 HTML 내 아무곳에나 붙여넣으면 해당 글 전체의 들여쓰기 설정을 정할 수 있음.

 

숫자부분을 바꿔서 어느정도로 들여쓰기를 할 것인지 정할 수 있다.
이 들여쓰기 코드는 위치에 상관없이 HTML 내에 입력되어 있기만 하면 무조건적으로 적용이 됨. 다른 말로 하자면 한번 15px로 고정하면 다음 단락에선 40px로 들여쓰기하고 이러는건 불가능하단 이야기임. 그냥 그 글의 전체적인 기본 서식을 부여하는 거라고 생각하면 편할 듯.

주의사항: 이 방법을 사용하면 코드를 붙여넣은 후에 기본모드로 돌아가 글을 작성하면 안됨. 기본모드로 돌아갈 시 아래에서 설명할 <span> 태그를 포함하여 작성해놓은 코드가 날라가서 들여쓰기가 사라지기 때문. 글을 모두 마무리 한 후에 코드를 붙여넣는 것을 추천.

 

㉯ 글 내용 코드

<br><span>"어쩌면 아주 훌륭할 수도 있죠! 생각해 보세요.마침내 모든 갈등이 완전히 끝나고, 슈퍼 컴퓨터 혼자 무한한 힘을 발휘하게 되었으니까요!"</span><br><span>석영 뒤에서 타오르던 불은 완전히 꺼지고, 한 줄기 연기만 남아 불타던 자리를 가리키고 있었다.</span><br><br> <span>-피할 수 있는 갈등(아이작 아시모프)</span><br><br><br>


<br> 태그는 엔터를 의미함. 문장 앞 뒤에 <br>를 입력하면 완성된 글을 볼 때 <br>를 기준으로 문장이 나눠져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. 개수에 따라 엔터를 몇번칠지를 결정할 수 있음.

중요한건 <span> 태그. 얘를 문장의 시작점마다 적어주질 않으면 그 문장은 들여쓰기가 적용이 안됨.

</span>
은 <span>으로 시작한 문장을 끝내는 태그.(* <a>는 해당 기능을 여는 태그, </a>는 닫는 태그인 형식임)

<span>이 여기서부터 지정한 스타일을 적용해 달라는 표시라면 </span>은 스타일 적용을 여기까지만 해달라는 표시.

 

따라서 글의 단락에 들여쓰기를 하고 싶을 때에는 그 단락 맨 첫 문장의 앞에 <br><span> 태그를 붙여줘야함.

참고로 </span>은 굳이 하나하나 안써도 글 업로드 하면 티스토리가 알아서 붙여줌

 

 

㉰ 각종 서식(정렬, 글자크기, 폰트 등) 코드
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4"><span style="font-family: 'Noto Sans Light';">

순서대로 문자정렬 / 글씨 크기 / 폰트를 설정함.

이 부분은 코드를 직접 작성하기보단 빈 글쓰기를 하나 연 후 기본모드에서 원하는 서식을 지정한 다음에 HTML을 들어가 거기서 보이는 코드를 복사하는게 마음 편함.
그래도 기본적인 것만 한번 정리해보자면,

글자크기
data-ke-size=
제목 1
"size26"
제목 2
"size23"
제목 3
"size20"
본문 1
"size18"
본문 2
"size16"
본문3
"size14"
폰트
style="font-family:
기본서체
AppleSDGothicNeo-Regular;"
본고딕R
'Noto Sans Demilight';"
본고딕L
'Noto Sans Light';"
나눔고딕
'Nanum Gothic';"
본명조
'Noto Serif KR';"
궁서
GungSeo, serif;"
정렬
style="text-align:
왼쪽 가운데
center;"
오른쪽
right;"
양쪽
justify;"
   
이 외 굵게
<b>문장</b>
기울임꼴
<i>문장</i>
밑줄
<u>문장</u>
취소선
<s>문장</s>
글자색
color: #컬러코드;"
배경색
background-color: #컬러코드;"

 

응용하면 이럼

 
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4"><span style="font-family: 'Noto Sans Light';"> <br><span>"어쩌면 아주 훌륭할 수도 있죠! 생각해 보세요.마침내 모든 갈등이 완전히 끝나고, 슈퍼 컴퓨터 혼자 무한한 힘을 발휘하게 되었으니까요!" <br><span>석영 뒤에서 타오르던 불은 완전히 꺼지고, 한 줄기 연기만 남아 불타던 자리를 가리키고 있었다.
<br><br>
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
data-ke-size="size16"><i><b><span style="font-family: 'Noto Serif KR';"><span>-피할 수 있는 갈등(아이작 아시모프)</b></i><br><br><br></span>

 

 

㉱ 티스토리 기본 폰트가 아닌 외부 폰트 사용법

 

티스토리가 본고딕이나 나눔고딕 등을 기본폰트로 지원하긴 하지만 다른 폰트를 적용하고 싶을 때 쓰는 방법.

폰트 추가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건 블로그 스킨 자체에 웹링크를 통해 폰트를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함.

 

https://noonnu.cc/index

 

눈누

상업용 무료한글폰트 사이트

noonnu.cc

눈누와 같은 폰트 사이트에서 마음에 드는 폰트를 찾은 후 제작자가 지원하는 웹폰트 코드를 찾는다.

만약 마루 부리를 적용하고 싶다면

표시한 곳에 있는 웹폰트 코드 중 원하는 폰트 굵기의 코드를 하나 복사해 둔다.

얇은 버전을 쓰고 싶어서 MaruBuriLight 웹폰트 코드를 복사했음.

이후 블로그 내에 폰트를 추가해주기 위해 블로그 관리-스킨편집-html 편집-CSS를 들어감

이후 CSS에 처음 복사해둔 폰트를 아무곳에나 붙여넣기함. 적용을 클릭하면 폰트 추가는 끝.

 

이렇게 추가한 폰트를 본문에서 사용하기 위해선 쓰던 글의 HTML로 들어가 바로 위 ㉰에서 설명한 폰트 부분의 코드를 추가한 폰트의 이름으로 바꾸어야 한다. (얇은 마루부리 글꼴의 경우 MaruBuriLight)

복사한 웹폰트에서 font-family 부분에 적힌 이름을 사용하면 됨.
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4"><span style="font-family: 'Noto Sans Light';">
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4"><span style="font-family: 'MaruBuriLight';">

 

 


2. 문장 서식에 들여쓰기를 추가하는 방법

+ 2024.07.28

이 방법을 이용하여 쓴 글을 HTML로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음
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4"><span style="font-family: 'MaruBuriLight'; padding-left: 20px; text-indent: -20px;">

본문 글씨의 서식을 나타내던 코드 맨 뒤에  padding-left: 20px; text-indent: -20px; 를 붙여넣기 해주면 그 서식을 쓰는 문장은 들여쓰기가 됨.

마찬가지로 숫자를 통해 들여쓰기 정도도 바꿀 수 있음. 1의 방법과는 달리 각 문장마다 들여쓰기 정도를 따로 설정할 수도 있음.

HTML에서 기본모드로 옮겨도 서식이 날아가지 않는다는게 매우 큰 장점~~

 

'여러가지 > 티스토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각주 테스트  (0) 2024.04.02

댓글